컴퓨터공학/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파일 리스트와 파일 속성, 파일 허가권

  • -
반응형

파일의 리스트와 파일 속성 확인하기

ls -l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는 ls입니다.
ls -l 명령을 사용하면 파일의 속성과 함께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출력 결과는 파일 유형, 허가권, 소유자, 그룹, 파일 크기, 마지막 수정 시간, 파일 이름 등을 포함합니다.
이 정보들은 파일 관리와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파일 유형 이해하기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파일을 관리합니다.

파일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는 파일의 첫 번째 문자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는 첫 번째 문자가 d로 표시되며, 일반적인 파일은 -로 표시됩니다. 이 외에도 링크 파일(l), 문자 장치 파일(c), 블록 장치 파일(b) 등 다양한 파일 유형이 존재합니다.

 

파일 허가권(Permission) 관리하기

리눅스에서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r(읽기), w(쓰기), x(실행)의 약자를 사용하여 허가권을 표시합니다.

이 허가권은 소유자(User), 그룹(Group), 그 외의 사용자(Other)에게 각각 설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w-r--r--는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이 있고,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있는 파일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러한 권한은 숫자(8진수)로도 표현 가능하며, 이는 chmod 명령과 함께 사용됩니다.

 

chmod 명령으로 파일 허가권 변경하기

chmod 777 sample.txt

chmod 명령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허가권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chmod 777 sample.txt 명령은 sample.txt 파일에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
chmod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파일의 보안과 접근성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모든 디렉토리의 최상위 디렉토리를 루트 디렉토리라고 합니다. 루트 디렉토리는 /으로 표시합니다.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