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
Docker란?컨테이너를 손쉽게 이동해서 어디서나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도구와 환경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고래등에 올려진 컨테이너 박스들처럼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것들을 컨테이너에 담는다.- 도커는 Linux 커널을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 있다면 어디서나 작동하기 때문에 플랫폼을 의식하지 않고 사용 가능 (Linux 만)Docker 아키텍처VMs vs Contaniers(Docker)Virtual Machines가상화된 애플리케이션에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와 필요한 바이너리/라이브러리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전체가 포함Docker도커 엔진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꼭 필요한 바이너리/라이브러리만 갖추고 있다.운영체제상의 사용자 공간에 격리된 프로세스로 구동되기 때문에 가상머신의 이점을 누리면서도 이..
[클라우드 서비스] Docker 개념과 AWS ec2 환경에 설치하기Docker란?컨테이너를 손쉽게 이동해서 어디서나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도구와 환경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고래등에 올려진 컨테이너 박스들처럼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것들을 컨테이너에 담는다.- 도커는 Linux 커널을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 있다면 어디서나 작동하기 때문에 플랫폼을 의식하지 않고 사용 가능 (Linux 만)Docker 아키텍처VMs vs Contaniers(Docker)Virtual Machines가상화된 애플리케이션에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와 필요한 바이너리/라이브러리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전체가 포함Docker도커 엔진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꼭 필요한 바이너리/라이브러리만 갖추고 있다.운영체제상의 사용자 공간에 격리된 프로세스로 구동되기 때문에 가상머신의 이점을 누리면서도 이..
2024.06.05 -
오늘은 저번에 만들었던 사이트에서 쪽지 기능, 회원가입 기능을 추가로 개발해보자일단 저번에 파일 넣었던 것처럼, 아래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ec2 우분투에 업로드해준다.업로드 방법은 저번 게시물을 확인해보면 된다.[클라우드 서비스] AWS(EC2, RDS)를 이용하여 간단한 웹사이트 만들기 [클라우드 서비스] AWS(EC2, RDS)를 이용하여 간단한 웹사이트 만들기오늘은 AWS에서 제공하는 EC2, RDS를 이용하여 로그인 기능, 게시판 기능을 하는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보겠다.여태까지 배운 AWS의 최종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고 힘을 내자. 테이블 생성사이quokka-story.tistory.com 물론 업로드 해주기 전에, rds관련된 내용은 각자 개인의 내용에 맞게 바꿔줘야 한다아래 내용)mysq..
[클라우드 서비스] AWS(EC2, RDS)를 이용하여 간단한 웹사이트 만들기2오늘은 저번에 만들었던 사이트에서 쪽지 기능, 회원가입 기능을 추가로 개발해보자일단 저번에 파일 넣었던 것처럼, 아래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ec2 우분투에 업로드해준다.업로드 방법은 저번 게시물을 확인해보면 된다.[클라우드 서비스] AWS(EC2, RDS)를 이용하여 간단한 웹사이트 만들기 [클라우드 서비스] AWS(EC2, RDS)를 이용하여 간단한 웹사이트 만들기오늘은 AWS에서 제공하는 EC2, RDS를 이용하여 로그인 기능, 게시판 기능을 하는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보겠다.여태까지 배운 AWS의 최종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고 힘을 내자. 테이블 생성사이quokka-story.tistory.com 물론 업로드 해주기 전에, rds관련된 내용은 각자 개인의 내용에 맞게 바꿔줘야 한다아래 내용)mysq..
2024.05.24 -
오늘은 AWS에서 제공하는 EC2, RDS를 이용하여 로그인 기능, 게시판 기능을 하는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보겠다.여태까지 배운 AWS의 최종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고 힘을 내자. 테이블 생성사이트에 사용할 테이블을 MySQL workbench를 통해 전에 만들었던 스키마에 생성하자.# board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board ( num int not null auto_increment, id char(15) not null, name char(10) not null, subject char(200) not null, content text not null, regist_day char(20) not null, hit int not null, fi..
[클라우드 서비스] AWS(EC2, RDS)를 이용하여 간단한 웹사이트 만들기오늘은 AWS에서 제공하는 EC2, RDS를 이용하여 로그인 기능, 게시판 기능을 하는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보겠다.여태까지 배운 AWS의 최종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고 힘을 내자. 테이블 생성사이트에 사용할 테이블을 MySQL workbench를 통해 전에 만들었던 스키마에 생성하자.# board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board ( num int not null auto_increment, id char(15) not null, name char(10) not null, subject char(200) not null, content text not null, regist_day char(20) not null, hit int not null, fi..
2024.05.17 -
MySQL Workbench를 통해 예전에 만들어 놨던 RDS로 접속해준다.이런 화면이 나오면 된다. DB, User 만들기DB를 만들고, user를 만들어서 만든 DB에서 CRUD(쓰기,읽기,수정,삭제)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DB 생성create database cloudDB;# DB 모든 경로(%)로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user) 생성하기# create user '[유저이름]'@'[경로]' identified by '[비밀번호]';create user 'harvie1'@'%' identified by 'harvie1234';# 유저한테 cloudDB CRUD 권한 주기# grant all privileges on [DB이름].* to '[유저이름]'@'[경로]';grant all priv..
[클라우드 서비스] AWS(EC2, RDS)를 통해 회원가입 기능 만들기MySQL Workbench를 통해 예전에 만들어 놨던 RDS로 접속해준다.이런 화면이 나오면 된다. DB, User 만들기DB를 만들고, user를 만들어서 만든 DB에서 CRUD(쓰기,읽기,수정,삭제)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DB 생성create database cloudDB;# DB 모든 경로(%)로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user) 생성하기# create user '[유저이름]'@'[경로]' identified by '[비밀번호]';create user 'harvie1'@'%' identified by 'harvie1234';# 유저한테 cloudDB CRUD 권한 주기# grant all privileges on [DB이름].* to '[유저이름]'@'[경로]';grant all priv..
2024.05.17 -
RDS 생성하기RDS 제품을 들어가준다.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누른다.데이터베이스 유형 선택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선택하자연습이니까 돈이 안나가는 "프리 티어"로 선택해준다.DB 인스턴스 식별자와 마스터 계정 설정그리고 DB 인스턴스 식별자와 마스터(admin)이름과 비밀번호를 선택해준다.마스터 사용자와 비밀번호는 꼭 어디에 적어두자.마스터 사용자는 해당 DB의 모든 설정을 만질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위험하다.그래서 마스터 사용자 계정을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하거나, 잃어버리면 많이 번거로워진다.인스턴스 설정아래 설정은 그냥 따라해도 된다.퍼블릭 액세스 옵션 확인퍼블릭 액세스는 꼭 "예"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지 우리가 워크벤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포트 번호 확인포트도 3306인지 곡 확인하자.백..
[클라우드 서비스] RDS 생성하기RDS 생성하기RDS 제품을 들어가준다.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누른다.데이터베이스 유형 선택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선택하자연습이니까 돈이 안나가는 "프리 티어"로 선택해준다.DB 인스턴스 식별자와 마스터 계정 설정그리고 DB 인스턴스 식별자와 마스터(admin)이름과 비밀번호를 선택해준다.마스터 사용자와 비밀번호는 꼭 어디에 적어두자.마스터 사용자는 해당 DB의 모든 설정을 만질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위험하다.그래서 마스터 사용자 계정을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하거나, 잃어버리면 많이 번거로워진다.인스턴스 설정아래 설정은 그냥 따라해도 된다.퍼블릭 액세스 옵션 확인퍼블릭 액세스는 꼭 "예"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지 우리가 워크벤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포트 번호 확인포트도 3306인지 곡 확인하자.백..
2024.05.17 -
원하는 명령어 메뉴얼 보기 아래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물이 나온다. man ls #ls 명령어보기 파일 위치 이동 및 이름 변경하기 mv cp 명령어 사용하기 (파일 복사) cp 리다이렉션 방향 표시로 사용한다. (>, [명령어 결과물을 저장할 파일] 만약 여기다가 추가로 다른 명령어의 결과물도 작성하고 싶을 때, >> 두번 써주면 된다. [사용할 명령어] >> [명령어 결과물을 저장할 파일] Sort 명령어 파일 내용을 정렬해서 보고 싶다. 라고 할 때 sort를 사용하면 된다. sort < [정리할 파일명] "srn.txt"의 정렬한 내용을 "sort.txt"에 저장하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Linux 기본 명령어 사용해보기2원하는 명령어 메뉴얼 보기 아래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물이 나온다. man ls #ls 명령어보기 파일 위치 이동 및 이름 변경하기 mv cp 명령어 사용하기 (파일 복사) cp 리다이렉션 방향 표시로 사용한다. (>, [명령어 결과물을 저장할 파일] 만약 여기다가 추가로 다른 명령어의 결과물도 작성하고 싶을 때, >> 두번 써주면 된다. [사용할 명령어] >> [명령어 결과물을 저장할 파일] Sort 명령어 파일 내용을 정렬해서 보고 싶다. 라고 할 때 sort를 사용하면 된다. sort < [정리할 파일명] "srn.txt"의 정렬한 내용을 "sort.txt"에 저장하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2024.04.19 -
user를 하나 만드려면, 설정해야할 것이 많다.우린 간단하게 유저를 만들어보는 명령어를 사용해보자adduser [생성할 유저명]이렇게 하면, 권한이 없어서 생성을 못한다고 메시지가 뜬다.저번에 배웠던 SuperUser 권한인 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 유저를 생성해보자sudo adduser [생성할 유저명]잘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제 간단한 정보를 넣어줘야한다.비밀번호는 필수로 작성해주고, (작성해보 화면에는 보이지 않으니까, 막 누르지 말고 하나하나씩 정확하게 작성하자)테스트용이니까 나머지는 빈칸으로 엔터만 쳐주자.그러면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는 메시지가 뜬다. "Y"를 작성해주자.그러면 생성이 끝난다.이제 생성한 유저로 들어가보자su - [변경할 유저명]그러면 초록색 글씨에서 @ 앞부분이 바뀐..
[클라우드 서비스] Linux 유저 만들기user를 하나 만드려면, 설정해야할 것이 많다.우린 간단하게 유저를 만들어보는 명령어를 사용해보자adduser [생성할 유저명]이렇게 하면, 권한이 없어서 생성을 못한다고 메시지가 뜬다.저번에 배웠던 SuperUser 권한인 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 유저를 생성해보자sudo adduser [생성할 유저명]잘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제 간단한 정보를 넣어줘야한다.비밀번호는 필수로 작성해주고, (작성해보 화면에는 보이지 않으니까, 막 누르지 말고 하나하나씩 정확하게 작성하자)테스트용이니까 나머지는 빈칸으로 엔터만 쳐주자.그러면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는 메시지가 뜬다. "Y"를 작성해주자.그러면 생성이 끝난다.이제 생성한 유저로 들어가보자su - [변경할 유저명]그러면 초록색 글씨에서 @ 앞부분이 바뀐..
2024.04.19 -
파일의 리스트와 파일 속성 확인하기 ls -l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는 ls입니다. ls -l 명령을 사용하면 파일의 속성과 함께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출력 결과는 파일 유형, 허가권, 소유자, 그룹, 파일 크기, 마지막 수정 시간, 파일 이름 등을 포함합니다. 이 정보들은 파일 관리와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파일 유형 이해하기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파일을 관리합니다. 파일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는 파일의 첫 번째 문자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는 첫 번째 문자가 d로 표시되며, 일반적인 파일은 -로 표시됩니다. 이 외에도 링크 파일(l), 문자 장치 파일(c), 블록 장치 파일(b) 등..
[클라우드 서비스] 파일 리스트와 파일 속성, 파일 허가권파일의 리스트와 파일 속성 확인하기 ls -l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는 ls입니다. ls -l 명령을 사용하면 파일의 속성과 함께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출력 결과는 파일 유형, 허가권, 소유자, 그룹, 파일 크기, 마지막 수정 시간, 파일 이름 등을 포함합니다. 이 정보들은 파일 관리와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파일 유형 이해하기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파일을 관리합니다. 파일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는 파일의 첫 번째 문자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는 첫 번째 문자가 d로 표시되며, 일반적인 파일은 -로 표시됩니다. 이 외에도 링크 파일(l), 문자 장치 파일(c), 블록 장치 파일(b) 등..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