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파이썬 기초

[파이썬 기초] 문자열 자료형 - 심화편1

  • -
반응형

오늘은 문자열에 대한 심화지식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문자열 인덱싱

인덱싱이란 '번호표'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프로그래밍의 순서는 대부분 0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앞에서부터 부르기

a = "안녕하세요."

print(a[0]);

뒤에서부터 부르기

음수로 하면 뒤에서부터 번호를 매깁니다.

단, 음수로 할 때는 0번이 아닌 -1번부터 시작입니다.

a = "안녕하세요."

print(a[-1]);

 

문자열 슬라이싱

슬라이싱이라는건 잘라내는 걸 말하는데요.

위에서 배운 인덱싱(번호표)으로 범위를 선택하는데요.

문자열변수[a:b] -> 문자열 데이터에서 a번째 문자부터 (b-1)번째 문자까지 가져오기

a나 b를 생략할 수 있는데요.

a를 생략하면 a[:b] -> 처음부터 (b-1)까지

b를 생략하면 a[a:] -> a부터 끝까지

이렇게 사용합니다.

a = "파이썬 기초"

b = a[0] + a[1] + a[2]
print(b)

c = a[0:3]
print(c)

 

중간 문자열 바꾸기

 문자열에서 중간을 바꿀 때는 인덱싱이아닌 슬라이싱으로 문자를 바꿀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는 케이스와 제대로된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류 발생1

오류 발생2

제대로된 사용법

 

문자열 포매팅

포매팅이란 문자열에 어떤 값을 추가하는 걸 말하는데요.

숫자 대입 (%d)

 

문자열 대입 (%s)

 

2개 이상 대압하기

 

"%s"는 모든 데이터를 문자열로 만든다

포매팅 종류

코드 설명
%s 문자열 - String
%c 문자 1개 - Character
%d 정수 - Integer
%f 부동 소수 - Floating-point
 %o 8진수
%x 16진수
%% 문자 '%'

 

정렬과 공백

"%s"에서 %와 s사이에 숫자를 사용하면 숫자만큼 공백을 넣을 수 있습니다.

그냥 숫자를 하면 앞에 칸을 띄우는거고,

-숫자를 하면 뒤에 칸을 띄우는겁니다,

정확히 말하면 숫자 만큼의 칸을 확보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위에 %5s 를 보면

     

5칸 공간을 확보하고 5칸 중 대입한 문자수만큼을 채웁니다.

그렇다면 %-5s 는 어떻게 될까요?

     

어떤 원리인지 이해하셨나요?

소수점 자르기

소수점을 다루는 %f와 숫자를 같이 활용합니다.

%0.bf -> n번째에서 자르고 5번째 숫자를 반올림합니다.

%a.bf -> a칸 공간을 확보하고 b번째에서 자르고 그 뒷 숫자를 반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10.3f 를 봅시다.

        7 7 . 1 2 3

이해하셨나요??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이상입니다.

 

다음 게시글은 Python3.6부터 사용가능한 f 문자열 포매팅을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자주 쓰는 포매팅 방법인데요.

그만큼 편한 포매팅 방법입니다.

 

다들 행복한 추석 보내세요~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공감 부탁드립니다.